1. 수양버들 정의
수양버들의 열매는 삭과로 여름에 익는다. 씨앗은 5월에 성숙해 퍼뜨리는데, 많은 솜털을 가지고 있어서 바람에 잘 날리기 때문에 호흡기에 질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습한 곳에서 싹을 틔우며 잘 자라기에 강변에 서식하며 하천물을 막아 주변 지역을 침수시켜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류머티즘, 황달, 화상, 습진 등을 다스리고 신경통, 치통 등 통증의 진통에 효과가 있으며, 종기의 치료에 이용되는 등 여러 효능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민간요법의 재료로 쓰이며, 그밖에 수목은 가로수, 목재로 이용되는 등 많은 쓰임새를 지니고 있다. 여러 종교와 국가에서 수양버들을 소재로 한 문화가 나타나며, 그 독특한 생김새로 인해 여러 문학과 미술 작품에서도 소재로써 사용되고 있다.
수양버들은 낙엽성의 작은 활엽교목이다. 또한, 수양버들은 쌍떡잎식물로, 잎이 피침형으로 어긋나 자라며 잎의 끝에는 잔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10미터에서 25미터까지 자라며 줄기가 축 늘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수양버들의 뒷면은 분처럼 희다. 세계 도처에 심으며 한국에는 이미 통일신라시대 때 들어와 전국 곳곳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2. 수양버들 형태
수양버들은 10미터에서 25미터까지 자란다. 줄기는 굵고 길게 뻗어 있으나, 끝부분만 가늘고 축 늘어뜨려 있다. 가지는 사방으로 퍼진다. 잎과 가지의 모양이 한국에 자생하는 능수버들과 비슷하여 식별하는 데 혼동하는 수가 있다. 나무껍질은 짙은 갈색이며 세로로 깊게 갈라진다. 수양버들의 새로 난 가지는 녹색에 매끈하며 1년생 어린 가지는 붉은 자줏빛을 띤다. 줄기 위의 많은 가지가 달린 부분인 수관은 구형 또는 종 모양에 가깝고, 수양버들의 가지는 바람에 약해 매우 부러지기 쉽다. 수양버들은 3월에서 4월 무렵 꽃을 피운다. 꽃은 갈래꽃으로서, 꽃잎이 낱낱이 서로 갈라져 있다. 충매화이며 수꽃은 2~3센티미터이고 암꽃은 이보다 조금 작은 1~2센티미터이다. 수술은 2개이며 꽃밥은 노란색을 띤다. 자웅이주로서, 꽃이 암수딴그루인 식물이나 간혹 암수한그루인 경우도 있다. 암나무를 작게 꺾꽂이해 번식시킨다. 4월에 잎과 함께 황록색으로 꽃이 핀다. 수꽃이 피는 꽃차례는 1~2센티미터로서 꽃차례의 중심축인 꽃대 축에는 털이 있다. 꽃대나 꽃자루의 밑을 받치는 잎인 포는 길이 1.5밀리미터로 끝이 무디며 타원형에 털이 있다. 열매는 원뿔 모양이며 익으면 말라 쪼개지면서 씨를 퍼뜨리는 삭과이다. 길이 3밀리미터로 씨방에는 털이 없으며 씨앗은 8월에 여물고 5월에 성숙하면 바람을 통해 씨앗을 퍼뜨리며, 습한 토양에서 발아한다. 씨앗의 수명은 짧아 일주일 정도가 지나면 발아력을 상실한다.
3. 수양버들 습성
햇빛을 좋아하고 내한성(耐寒性)이 강하며 먼지, 가스 등에도 잘 견딘다. 땅을 많이 가리지는 않으나, 습지에서 잘 자라는 편이다. 소금기가 있는 땅에서도 잘 자란다. 수양버들은 꺾꽂이로 잘 자라기에 이를 통한 번식이 가능하다. 봄에 싹이 트기 전에 꺾꽂이한다. 하지만 수양버들은 뿌리를 썩게 하는 곰팡이가 침투하기 쉽고, 뿌리가 썩기 시작하면 강한 바람에 밑동이 파헤쳐져 나오기도 하는 등 바람에 약한 모습을 보인다. 곰팡이가 피기 시작한 수목은 뿌리의 부식이 진행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4. 수양버들 쓰임새
수양버들은 대기오염에 강하고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대기를 깨끗이 한 정화 능력 또한 높기에 전 세계에서 가로수와 정원수 등 관상수로 많이 이용된다. 산업적으로는 목재를 이용하고, 각 지역에서 민간 의약품으로 쓰인다.
잎에는 많은 비타민C를 포함하고 있기에 중국에서는 수양버들의 새싹을 초봄의 야채로도 먹으며, 다량으로 재배하기에 잎이나 가지는 가축의 사료로도 이용된다. 한국에서도 잎이 달린 어린 가지를 집짐승 먹이로 쓴다. 수양버들은 성장이 빠르기에 가로수로 심을 경우, 보도가 좁으면 가지치기 등에 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자라면서 간판을 가리거나 도보를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가로수로 선정할 경우 선정할 지역, 수목의 유지와 관리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5. 수양버들과 다른 생물과의 관계
수양버들과 관계가 있는 곤충으로는 버들진딧물, 버들쌍꼬리진딧물, 등줄버들머리매미충, 산버들머리매미충, 버들잎털진딧물, 대륙털진딧물, 버들왕진딧물, 닮은버드나무이, 무늬곤봉하늘소, 두눈사과하늘소, 캘리포니아나무좀, 미국흰불나방, 포플라가는나방, 수양버들혹파리 등이 있다. 이들은 수양버들에 기생한다. 수양버들혹파리는 수양버들의 새로 난 가지에 벌레혹을 만들어 그 안에 알을 낳으며, 애벌레들은 벌레혹 안에서 수양 나무의 식물 조직을 먹으며 자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