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명과학

해파리, 젤리피쉬

by TRUEMOM_SHOW 2022. 12. 9.
728x90
반응형

해파리

 

1. 해파리의 이름

1796년부터 사용된 해파리라는 이름은 전통적으로 해파리라 문과 빗 모양 해파리를 포함한 모든 비슷한 동물에 적용되었다. 해파리라는 용어는 최근 공공 수족관에서 조개류, 갑각류, 불가사리 등도 척추동물은 아니지만, 등뼈가 있는 동물을 현대적으로 함축하여 "물고기"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 도입되었다. 과학 문헌에서, "젤리"와 "젤리피쉬"는 서로 교환해서 사용되어 왔다. 많은 자료는 오직 해파리강만을 "진정한 해파리"라고 부른다.
해파리는 몸을 활짝 벌렸다가 재빨리 안쪽으로 오므리면서 헤엄친다. 그러다 움직임을 멈추면 바다 바닥으로 가라앉는데, 가라앉는 동안 촉수와 구엽에 부딪히는 작은 동물들을 잡는다. 촉수와 구엽에는 자포가 있는데, 자포로 미세한 독이 있는 실을 쏘아 동물을 마취시킨 후 입으로 삼킨다.
해파리는 알을 낳아 번식한다. 알은 미세한 폴립으로 발달하는데, 이 폴립은 바다 바닥에 몸을 부착시킨다. 여기서 출아라는 방법으로 해파리가 나온다. 또한 일정한 크기로 자라면 폴립에서 떨어져 나가 성체로 자라서 플라눌라 유충이 된다. 어떤 해파리는 독을 가지고 있어 사람이 그 독에 쏘이면 고통을 느끼거나, 심하면 사망하기도 한다. 해파리는 적합한 조건이 되면 대군을 형성해, 어망에 그물을 쳐 어구 손상의 원인이 되고, 해수를 퍼내는 발전소나 담수화 플랜트의 냉각 시스템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해파리는 해파리 아문지에 속하는 무척추동물이다. 해파리는 콩보다 작은 것부터 지름이 2m 이상에 이르기까지 종류가 다양한데, 네 개의 목과 약 200 여종이 여기에 속한다. 전 세계에서 출현한다.
성체 몸의 94~98%는 물로 이루어져 있다. 또, 해파리를 이루는 두 세포층 사이에는 젤리 같은 물질이 차 있으며, 이 물질은 깨지기 쉬운 체 벽을 지탱하는 일종의 골격 역할을 하며, 물속에서 해파리가 부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해파리는 종이나 우산 모양의 방울이나 덩굴성 촉수를 가진 유연성 해양 동물이다. 해파리는 대부분 움직이며 생활하지만 고정되어 살아가는 해파리도 있다. 입이 들어 있는 짧은 관이 가운데에 마치 종의 추처럼 달려 있으며, 이 관의 가장자리에는 구엽이라고 하는 주름장식 달린 돌기들이 나와 있다. 또한 다른 돌기들은 몸의 가장자리에 매달려 아래쪽으로 늘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대접만 하며 연한 주황색, 자주색, 푸른색, 그 밖의 여러 색깔을 띤다.
해파리는 신체 일부가 잘리면 재생하기도 하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재생력에 한계가 없어 인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오래 살 수 있다고 한다. 이 재생력엔 한가지 비밀이 있는데 바로 재생할 때 '대칭성'의 조건을 맞춘다는 것이다. 해파리는 잘린 다리를 재생하기 전 그 다리의 길이와 맞추기 위해 다른 다리 근육을 축소한다. 어린 해파리든 성체 해파리든 움직이고 먹이 사냥하기 위해선 몸의 균형이 맞아야 하기 때문이다.

 

 

2. 해파리 식용

 

근구해파리목에 속하는 해파리류의 해파리는 음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85 개종 가운데 약 12종이 사육되어 국제 시장에 팔린다. 그 가운데 대부분은 동남아시아에서 들여온다. 특히 중국에서는 숲 뿌리 해파리가, 미국에서는 대형 해파리가 선호된다. 그 까닭은 몸집이 크고 단단하고 독성이 사람에게는 해롭지 않기 때문이다. 아시아에서 해파리는 식용으로 쓰이며, 한국에서는 주로 ‘해파리냉채’로 먹는다.

 

 

3. 해파리의 생애 주기

해파리는 복잡한 생애주기를 가지며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의 두 단계가 있다. 대개의 경우 유성생식 단계이며 수정란을 플라눌라로 성장하여 폴립이 되어 싹을 틔우고 성체의 해파리로 성장한다. 종에 따라서는 어떤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플라눌라는 섬모로 뒤덮인 작은 애벌레이다. 충분히 발달하면 단단한 표면으로 가라앉아 폴립이 된다. 종양은 대개 위로 향한 촉수 모양을 한 입 끝에 작은 줄기로 이루어진다. 이 폴립 말미잘, 산호 등 가까운 동물들의 폴립을 닮았다. 해파리 폴립은 해저나 보트 선체 그 밖의 기질에 부유하거나 작은 플랑크톤에 부착하거나 물고기나 기타 무척추동물에 부착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폴립의 지름은 밀리미터로 작으며, 폴립의 기간은 해파리마다 다르다. 시간이 지나 계절적 또는 호르몬 적 변화에 의해 자극받은 후 폴립은 출아를 통해 무성생식을 시작할 수 있다. 싹이 트면 보다 많은 대 흉곽이 생긴다. 출아 부위는 종에 따라 다르며 촉수고, 비강, 수생 동물의 생식선 등이 있다.
해파리는 성체에 도달하고 충분한 식량이 있으면 정기적으로 산란한다. 대부분의 종 산란은 빛에 영향을 받기 때문인 거의 같은 시각에 산란한다. 산란은 대부분 새벽이나 황혼에 이뤄진다. 대부분 성체는 정자와 난자를 주위 물속으로 방출하고 여기서 무방비 된 난자는 수정해 애벌레가 된다. 일부 종에서는 정자가 암컷의 입속으로 들어가고 체내의 난자를 수정시키기도 한다.

728x90
반응형

'생명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래상어, 세상에서 가장 큰 동물  (1) 2022.12.13
수양버들  (0) 2022.12.12
귀신고래  (0) 2022.12.10
해마, 무척추동물  (0) 2022.12.09
개복치, 바다의 큰 물고기  (0) 2022.12.08

댓글